2015 개정 교육과정 안내 - 2017년 3월 1일부터 시행 |
교육관리자 │ 17.12.01 │ 361 |
* 본 내용은 교육부 홈페이지에서 발췌했습니다.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해주세요. 초‧중등교육법 제23조 제2항에 의거하여 초‧중등학교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2015. 9. 23.) 【별책 1】총론의 부칙 중 일부 과목의 적용 시기를 다음과 같이 개정 고시 합니다. 2015년 12월 1일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부칙 1. 이 교육과정은 학교 급별, 학년별로 다음과 같이 시행합니다. 가. 2017년 3월 1일 : 초등학교 1, 2학년 나. 2018년 3월 1일 : 초등학교 3, 4학년, 중학교 1학년, 고등학교 1학년 다. 2019년 3월 1일 : 초등학교 5, 6학년, 중학교 2학년, 고등학교 2학년 라. 2020년 3월 1일 :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3학년 단, 중학교 사회 교과(군)의 ‘역사’ 및 고등학교 기초 교과 영역의 ‘한국사’ 과목은 2017년 3월 1일부터 적용합니다. *학교 급별 주요 개정 사항 ◦ 초등학교의 경우, 1~2학년(군)에 한글교육을 강조하는 등 유아 교육과정(누리과정)과 연계를 강화하고 초등 1~2학년 수업시수를 주당 1시간 늘리되, 학생들의 추가적인 학습 부담이 생기지 않도록 창의적 체험 활동 시간을 활용해 체험 중심의 ‘안전한 생활’을 편성‧운영하도록 하였다. * 안전한 생활은 생활안전/교통안전/신변안전/재난안전 4개 영역으로 설정하여 지식 보다는 체험 중심 학습으로 자연스럽게 안전한 생활습관과 의식을 습득하게 함 *교과 교육과정 주요 개정내용 ◦ 국어의 경우, 초등 저학년(1~2학년)의 한글교육을 체계화·강화하여 학생들이 입학 후 최소 45차시 이상 꾸준히 배울 수 있도록 하고, 체험 중심의 연극수업 강화*, 1학기 1권 독서 후 듣기·말하기, 읽기, 쓰기가 통합된 수업 활동을 통해 인문학적 소양을 갖출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의미 있는 독서경험은 학생들을 성인이 된 후에도 꾸준히 책을 읽는 평생 독자로 이끌 것으로 기대된다. * (초) 5·6학년군 국어 연극 대단원 개설 / (중) 국어 연극 소단원 신설 ◦ 수학의 경우, 초등학교 1학년에서 고교 공통 과목까지는 모든 학생들이 수학에 흥미와 자신감을 잃지 않도록 학생 발달단계와 국제적 기준(Global Standards)을 고려하여 학습내용의 수준과 범위를 적정화*하였으며, ‘경제 수학’, ‘수학과제 탐구’, ‘심화 수학Ⅰ,Ⅱ’ 등을 신설함으로써 선택 과목을 재구조화하였다. 아울러, 수학적인 논리적 사고력을 기르고 수학에 대한 흥미도를 높이기 위해 활동과 탐구 중심으로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하고, - 수업 내용과 실제 평가와의 괴리가 발생하지 않도록 ‘평가 방법 및 유의 사항’을 신설하여, 교육과정을 벗어난 내용을 평가하지 않도록 안내함으로써 실질적인 학습부담 경감을 실현하고자 하였다. ◦ 영어의 경우, 초·중학교에서는 ‘듣기’와 ‘말하기’에 중점을 두고 고등학교에서 ‘읽기’, ‘쓰기’ 학습을 강조하는 등, 언어발달 단계와 학생발달 수준을 고려하여 의사소통 중심 교육을 강화하였다. ◦ 초등 5~6학년 실과에 도입되는 소프트웨어 교육은 놀이 중심의 알고리즘 체험과 교육용 도구를 활용한 프로그래밍 체험을 통해 쉽고 재미있게 배움으로써 학생들의 학습 부담이 늘지 않도록 하고, 중·고등학교에서는 실생활의 문제들을 컴퓨터 과학의 원리를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함양하도록 구성하였다. - 특히, 창조경제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학생들이 정보윤리 의식을 함양할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 저작권에 대한 이해와 정보기술의 올바른 사용법을 실천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초등학교 한자교육은 관련 교과(군)와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체계적인 지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적정 한자 수 및 표기방법 등 구체적인 방안은 정책연구를 통해 ‘16년 말까지 대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